지난 포스트에서 다루었 듯이 책임이란 "변경의 이유"이다. 하지만 단일 책임 원칙을 고려하면서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다 보면 책임에 대해 고민에 빠지게 된다. 변경의 이유는 절대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책임 == 기능 ?단일 책임 원칙, 혹은 SRP에 대해서 리서치를 하면 다양한 예시들을 접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예시들의 클래스에선 하나의 메서드만을 가지고 단일 책임 원칙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객체가 한 가지의 기능 만을 가졌을 때 단일 책임 원칙을 논하기는 매우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러한 예시들과 단일 책임 원칙에 대한 설명을 보다 보면 이해가 되는 듯 싶다. 하지만 실제로 단일 책임 원칙을 고려하며 설계를 하거나 구현을 하게 되면 무언가 헷갈리게 된다. 홀로 공부하며..
소프트웨어를 처음 공부하기 시작하고 나서 가장 어려웠고 지금도 어려운 부분이 SOLID이다. SOLID를 공부해야겠다 생각하고 처음 접하게 되는 것이 SOLID의 S인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이다. 이리 저리 구글링을 해보며 단일 책임 원칙에 대해 공부하고 이해했다 싶더라도, 막상 적용해보려니 어려움을 많이 느꼈다. 그렇게 시행착오를 겪으며 나만의 결론에 어느정도 도달하게 되었다. 물론 아직 부족하지만, 내 생각들을 정리하며 복습해보려 한다!🚀 책임이란 무엇일까?SOLID라는 다섯가지 원칙은 객체지향의 절대적인 원칙이 아니다. Clean Code의 저자인 로버트 마틴이 객체지향의 원칙으로서 권장하고 이제는 주류로 자리잡은 원칙이 SOLID이다. 로버트 ..
Java로 Web Application을 만들려면 꼭 필요한게 Maven, Gradle 같은 빌드 툴이다. IntelliJ나 Spring Initializr 같은 곳에서 Maven 혹은 Gradle 같은 빌드툴을 선택하기만 하면 알아서 세팅해준다 😃그래서 그것에 대한 감사함은 진정하게는 없었다 히히 😏빌드툴을 쓰는 이유는 귀찮은 빌드들을 다 해주기 때문인데, 빌드툴을 무의식적으로 쓰다가 갑자기 든 생각이 있다. 빌드는 얼마나 귀찮길래 이런게 생긴걸까? 간단하게나마 직접 빌드를 체험해보고 싶은 마음에 인터넷을 뒤져 해보게됐다.소스 코드USER@DESKTOP-R5TAR1M MINGW64 ~/Desktop/공부/Java/HelloWorld$ rmdir -p src/main/java/com/buildexc/..
Java의 본질에 대해 정리하고 복습할 겸 기록해보겠다. 어디까지나 학습 기록과 중간 중간 생긴 내 호기심에 대한 나의 하찮은 견해이다😥Java우선 Java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Sun Microsystems) 라는 회사에서 제임스 고슬링(James Gosling)이라는 사람을 주축으로 만들어졌다.썬에 대해 잠깐 말해보자면, Stanford University Network의 약자다. 스탠포드 대학 동문들끼리 설립한 회사다. 지금은 오라클에 인수합병된지 햇수로만 14년이고, 썬이 주력하던 일들 중 오라클에 남아있는건 Java 말고는 거의 안 남아있는 것 같다. MySQL도 있지만 이도 썬이 인수했었던 것이니...썬의 주력사업은 주로 소프트웨어가 아닌 하드웨어 쪽이었다. SPARC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