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성

다형성이란다형성은 다른 특성인 추상화와 관련있다. 다형성이란 여러가지(poly)의 형태(morphe)를 가지는 성질을 말한다. 상속, 구현 등으로 관계가 형성된 객체들 중 더 구체적인 객체인 하위 객체의 인스턴스는 추상적인 상위 객체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 인스턴스의 타입을 추상체로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코드로 예시를 보는 것이 이해가 빠르다. 객체지향의 특성 - 추상화객체지향의 특성 중 하나인 추상화는 상속과 관련이 있다. 객체지향의 특성 - 상속객체지향의 특성 중 상속에 대해 기록해보려한다. 상속은 두 객체 사이에서 정의되는 관계다. 두 객체는 다음jtechtalk.tistory.com  추상화 글에 썼던 로그인 클래스로 예시를 들어보겠다.interface Login { void logi..
객체지향의 특성 중 하나인 추상화는 상속과 관련이 있다. 객체지향의 특성 - 상속객체지향의 특성 중 상속에 대해 기록해보려한다. 상속은 두 객체 사이에서 정의되는 관계다. 두 객체는 다음과 같다.상속을 해주는 객체: 상위, 부모, 혹은 super 객체상속을 받는 객체: 하위, 자jtechtalk.tistory.com상속에서 짚고 넘어갔듯이, 상속 관계에선 상위 객체가 하위 객체보다 추상적이어야 하고 하위 객체는 추상적인 상위 객체의 구체적인 상태여야 상속 관계가 바람직한 상속 관계다. 상속 관계에서 추상 객체와 구체 객체는 다음과도 같다.추상화된 객체: 추상체구체적인 객체: 구상체상속과 추상화추상화는 상대적이다. 상속의 관계도 추상화로 이루어진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추상적인 상위 객체가 추상..
객체지향의 특성 중 상속에 대해 기록해보려한다. 상속은 두 객체 사이에서 정의되는 관계다. 두 객체는 다음과 같다.상속을 해주는 객체: 상위, 부모, 혹은 super 객체상속을 받는 객체: 하위, 자식, (this) 객체상속을 하는 객체는 하위 객체에게 필드 또는 메서드를 전달할 수 있다. 하위 객체가 상위 객체의 접근 제한에 따라 상위 객체의 필드 또는 메서드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객체지향의 특성인 상속이다. 부모 객체, 그리고 자식 객체는 다른 말로 추상 객체, 그리고 구체 객체라고 할 수 있다. 상속에 관해선 바로 이 추상과 구체의 개념적인 요소들을 기록해보려한다.추상 객체와 구체 객체흔히들 부모 또는 상위, 그리고 자식 또는 하위 객체라고 하지만, 상속의 관계에 놓여진 두 객체를 가장 ..
객체지향의 특성은 4가지다.캡슐화상속추상화다형성객체지향을 처음 접했을 때 특성 이전에 SOLID원칙을 먼저 접했다. 그래서 SOLID와 객체지향의 특성이 엄연히 다르다는 것을 잘 인지하지 못 했었는데, SOLID는 객체지향의 특성을 더욱 살려 좋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기 위한 원칙이다.캡슐화캡슐화는 객체가 책임을 수행하는 단위로써 완전함을 갖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객체가 어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른 외부 객체와 협력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객체가 다른 외부 객체를 의존한다고도 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캡슐화는 이 의존성이 최대한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가능한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완전성을 가지는 것이 가장 높은 수준의 캡슐화가 성취된 것이고, 의존성이 있더라도 최대한 느슨하게 ..
인재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성' 태그의 글 목록